다복다복
강원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카카오톡 채널
로그인
회원가입
마이페이지
지역자율형사회서비스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제도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투자사업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사업안내
강원특별자치도 사업현황
시군별 사업현황
제공기관 등록안내
시·군 담당부서 안내
강원특별자치도 부정수급 신고 안내
교육신청
집합교육
사이버교육
사이버교육(지원단)
정보마당
공지사항
언론보도
지원단소식
웹진:행복톡톡
카드뉴스
활용자료
지침
참여마당
아이디어 제안하기
보수교육 강사모집
우수사례 공유전
강원특별자치도 지원단
지원단소개
CI소개
찾아오시는길
강원특별자치도 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
GANGWON SOCIAL SERVICE ASSISTANCE GROUP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제도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투자사업
청년사회서비스사업
사회서비스
사회서비스(Social services)의 개념
개인 또는 사회전체의 복지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공공행정(일반행정, 환경, 안전), 사회복지(보육, 아동・장애인・노인 보호), 보건의료(간병, 간호), 교육(방과 후 활동, 특수 교육), 문화(도서관・박물관・미술관 등 문화시설 운영)를 포괄하는 개념
사회서비스의 특징
국민의 일상생활 지원, 가족과 공동체를 위한 생활서비스
상대적인 불평등과 관련된 요구가 강한 서비스
사회적으로 필요하나 시장에서 최적의 양이 공급되지 못해 주로 초기에 공공부문에서 제공기반이 마련될 필요가 있는 서비스
이윤추구 등 경제적 동기 외에 이타주의 등 사회적 동기가 결합
사회적 소비의 총량은 개인적 선택 외에 집단적인 의사결정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
시장실패를 보완하기 위한 공공부문 역할 강화와 함께 민간 시장 및 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필요
사회서비스 법률적 정의 : 사회보장기본법 제3조 제4호
(대상)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부문의 도움이 필요한 모든 국민에게
(분야)
복지.보건의료.교육.고용.주거.문화.화견. 등의 분야에서
(기능)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고 상담.재활.돌봄.정도의 제공.관련 시설의 이용. 역량 개발. 사회참여 지원 등을 통하여
(목적)
국민의 삶의 향상되도록 지원하는 제도
기타관련 법령에서의 사회서비스 정의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권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사회서비스" 란 「사회복지사업법」제2조 제4호에 따른 사회복지서비스
「보건의료기본법」제3조제2호에 따른 보건의료서비스. 그밖에 이에 준하는 서비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서비스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 제6호
"사회복지서비스"랑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부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모든 국민에게 상담.재활. 직업 소개 및 지도. 사회복지시설의 이용 등을 제공하여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가능하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는것
보건의료기본법 제3조 제2호
"보건의료서비스"랑 국민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하여 보건의료인이 행하는 모든 활동
사회서비스 필요성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전략적 대응 가능
인구구조 변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증가에 따른 가족기능 약화, 저성장 고착에 따른 근로빈곤 등 새로운 사회적 위험 등장
이에 따라 돌봄, 간병, 재활 등 전통적 접근으로 해결할 수 없는 다양한 복지 욕구를 사회서비스를 통해 충족 가능
인적자본 형성을 통한 예방적 복지 구현
중산층 감소, 근로빈곤층 증가 등 빈곤의 고착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 필요
사회서비스는 아동에게 공정한 기회 제공, 여성 등 근로취약계층의 고용시장 참여 확대를 통해 사회이동을 촉진하고 빈곤의 대물림 방지
양질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회서비스는 타분야에 비해 고용 창출효과가 크고,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높은 편 (취업유발계수(’10년, 단위: 명/10억) : 사회복지 : 41.2, 전산업: 12.9, 제조업: 9.3)
취약계층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제공하여 서민생활 안정 및 고용복지를 실현하면서, 동시에 서비스 제공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도모
미취업자의 일자리 창출로 노동시장 교란없는 고용 창출
사회서비스 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비경제활동인구로부터의 유입이 많아 타 노동시장을 교란하는 효과가 적은 편(노동硏,’09.12월) (비취업상태로부터의 유입비율 : 사회서비스업이 10%대로 농림(2%대), 건설, 생산자서비스업(8%대)에 비해 높은 편)